[트리니티메디컬뉴스=김여리 기자] 중국산 백신을 대량 접종한 국가들이 코로나 바이러스 재확산 때문에 곤욕을 치르고 있다. 중국 백신의 효과가 턱없이 낮은 것이 이유라는 지적이다.
2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몽골과 바레인, 칠레, 세이셸군도 등이 중국 백신을 바탕으로 ‘올 여름 경제 정상화를 이루겠다’고 공언했으나 사실상 물거품이 됐다고 보도했다. 이들 국가는 현재 전 세계에서 신규 감염자 수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상위 10개국에 포함돼 있다.
몽골 등 이들 국가는 전체 인구 대비 백신 접종률이 50~68%로, 절반을 넘는다. 미국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현재의 양상은 딴판이다. 화이자·모더나 백신을 주로 접종한 미국에서는 최근 6개월동안 신규 감염자 수가 94% 급감했다.
상황이 이렇자 해당 국가를 중심으로 중국 백신의 안전성 논란과 함께 효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고 뉴욕타임즈는 지적했다.
중국 백신은 현재 90여개 국가에서 접종이 허용된 상태다. 중국 정부가 ‘백신 외교’ 전략의 일환으로 시노팜 등을 적극 배포하고 있어 저개발국을 중심으로 중국산 접종률이 높은 편이다.
백신 효능은 신규 감염자 수로도 간접 비교할 수 있다. 화이자를 주로 도입한 이스라엘의 경우 신규 감염자 수는 100만 명당 4.95명이나 중국 시노팜에 의존하는 세이셸군도의 감염자 수는 같은 기준으로 716명을 넘는다.
중국산 시노팜 백신의 항체 형성률은 78%, 시노백은 51%라는 게 제약사들의 설명이다. NYT는 “팬데믹 극복은 각국 정부가 어떤 백신을 선택하느냐에 달린 문제이기도 하다”고 평가했다. 홍콩대 바이러스 전문가인 진 동얀 교수는 “중국 백신이 충분히 괜찮은 제품이라면 (몽골 등에서) 이런 재감염 패턴을 보여선 안 된다”며 “중국이 사태를 해결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