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니티메디컬뉴스
많이 본 뉴스
-
“체내에 손상된 DNA를 찾아 없애는 단백질 존재해”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바이오분석표준그룹 최준혁 박사팀이 우리 몸속의 DNA가 손상을 입으면 ‘TREX1’라는 단백질이 이를 분해시켜 없앤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세포에 존재하는 수많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 후 DNA 손상 조각이 생기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관찰했다. 그...
2022-05-16 강다은
-
‘장(腸) 건강이 뇌 건강’... ‘장뇌 축’ 작동 메커니즘 확인
[트리니티메디컬뉴스=김여리 기자] 장(腸)의 미생물(gut microbiota) 세포에서 떨어진 부산물은 혈액을 타고 순환하면서 면역과 물질대사, 뇌 기능 등을 조절하는데, 이 때 장과 뇌 사이에 신호 전달 경로가 작동한다. 바로 ‘장뇌 축(gut-brain axis) 이론’이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이 이론을 입증할 명백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2022-04-27 김여리
-
‘무증상부터 사망까지’... “코로나19 위중증도는 대식세포가 결정”
[트리니티메디컬뉴스=김여리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되더라도 사람마다 위중증도는 크게 차이가 난다. 감염됐는지조차 모르고 지나가는 무증상자가 있는가 하면 급성 폐렴 등으로 목숨을 잃는 경우도 허다하다. 또 다행히 목숨을 건져도 심각한 후유증이 뒤따른다. 이런 위중증도의 차이는 왜 생길까. 많은 조사와 연구가 진행됐...
2022-05-12 김여리
-
[수상] 국립암센터 김지현 전임의, 대한부인종양학회 신풍호월학술상 수상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 자궁난소암센터 김지현 전임의는 최근 개최된 ‘2022 대한부인종양학회 37차 춘계학술대회’ 구연 부문에서 신풍호월학술상을 수상했다.3~4기 난소암은 적극적인 종양감축수술이나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이 표준치료로 자리잡고 있다. 난소암 환자의 생존율에 가장 중요한 ...
2022-04-20 강다은
-
[수상]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박정제 교수, 대한기관식도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 연제상’ 수상!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경상국립대학교병원(병원장 윤철호) 이비인후과 박정제 교수가 지난 15일(금) 열린 「2022년 대한기관식도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자유연제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5일 밝혔다.이번 논문은 ‘인간유두종바이러스 비관련 진행성 하인두암에서 p16 유전자의 역할’이라는 제목으로 투고되었...
2022-04-25 강다은
-
[수상] 국립암센터 김용연 연구부소장, ‘과학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 김용연 연구부소장(암전이연구과, 희귀·소아암연구과 최고연구원)이 4월 21일 제55회 과학의 날을 맞아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매년 과학의 날 기념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정부포상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유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포상...
2022-04-25 강다은
-
[수상] 고려대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남가은 교수, ‘제4회 젊은의학자 학술상’ 수상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고려대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남가은 교수(사진)가 한국여자의사회(회장 윤석완)로부터 ‘제4회 젊은의학자 학술상’을 수상했다.젊은의학자 학술상은 한국여자의사회 회원 중 연구 업적이 우수한 젊은연구자를 대상으로 선정되며, 상패와 상금 1000만원이 주어진다.이번 수상에서 남 교수는 비만, ...
2022-05-03 강다은
-
키 작은 우리아이, 희귀질환 가능성은?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우리 아이들의 키(신장) 문제는 부모들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다. 특히 또래보다 작고 왜소한 경우라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불과 ㎝ 차이로 희비가 엇갈리도 한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저신장이 단순한 성장 문제가 아니라 희귀질환의 하나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김신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
2022-05-09 강다은
-
롱 코비드, 난청과 이명 등 청력 문제까지?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아직 완전한 감염병 종식이 선언된 것은 아니지만 코로나19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점차 일상을 회복해가는 모습이다. 수많은 감염자 중 무증상으로 아예 증상이 없었거나 가볍게 앓고 지나간 사람도 있지만, 긴 후유증 일명 ‘롱 코비드’에 시달리는 사람도 적지 않다. 주로 기침, 가래, 인후통 등...
2022-04-28 강다은
-
일본, 갑작스런 매독 확산... 원인 두고 설왕설래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한때 거의 사라졌던 성병 ‘매독’이 최근 들어 일본에서 다시 확산하고 있다.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조선일보는 마이니치신문 등 현지 언론을 인용해 일본의 ‘매독 미스터리’를 전했다.이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0일까지 14주 동안 일본 전역에서 보고된 매...
2022-04-21 강다은
메뉴 닫기
TOP